Incheon Urban Agriculture Network (Urban Agriculture Support Center,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2018년 7월 13일 금요일
[활동소식] 도시농업 공동체 코디네이터 첫번째 강의 "위험사회, 이상이 일상이 되도록 상상하라"
도시농업 공동체 코디네이터양성과정을 어제 시작했습니다.
첫 강의는 공동체담론 - 우리사회 공동체가 필요한 이유 "위험사회와 공동체"
유해숙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교수)
'공동체'라는 막연한 개념을 구체적인 사례와 철학으로 접근할 수 있게 의식을 깨워주는 강의였습니다. 우리나라 공동체지수는 OECD꼴찌입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청년들에게 헬조선이라 불리는 우리사회는 언제든지 누구에게나 노출된 위험사회입니다. 자본의 외눈박이 괴물이 달려가면서 뿌리고 있는 위험은 너무도 계급적입니다. 이제 달리는 것을 멈추고 주위를 돌아봐야 합니다. 나의 힐링이 아니라 사회적인 구조적문제를 볼 수 있게 눈에 안대를 벗겨내야 합니다.
자본주의를 붕괴시킬 수 없다면 최소한의 인본주의로 위험을 제거해야 합니다.
첫번째 강의에 못오신 분들을 위해 강의자료와 동영상을 공유합니다. 흐름을 놓치지 않으시려면 강의텍스트자료를 읽고 동영상을 시청하고 오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강의자료
관련 동영상자료
다음 강의는 7월18일(수) 도시농업과 공동체 - 2개의 강의를 진행합니다.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all.dosinong.net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인기있는 글
-
김경숙(도시농업공동체 코디네이터) 10년 전 쯤 나는 내가 살았던 아파트 근처 10평 남짓의 조그만 텃밭에서 여름 동안 가족이 맛있게 먹을 상추, 시금치 모둠쌈 채소와 고추, 방울토마토, 오이 등 열매채소를 재배하기 위해 씨앗을 뿌...
-
김진덕(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운영위원장) 10월은 다음해에 수확하는 월동 작물을 심어야 하는 시기이다. 여름작물인 고추, 토마토, 땅콩, 들깨, 콩을 수확하고 빈 텃밭 공간에 겨울작물을 심으면 내년 봄에 수확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월동작물...
-
2023 도시농업전문가양성과정 신청안내 * 도시농업 전문가 과정이란? - 2017년 개정된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2017년 9월 22일부터 시행)에 따라, 도시농업국가자격증 [도시농업관리사]를 취득하기 위한 교육과...
-
10월 토종씨앗 무료나눔 : 토종호밀과 앉은뱅이 밀 *[소자농의 24절기 도시농업 토종작물 이야기]를 줄여서 "소자농의 도토리"라 하겠습니다. '도시농업' '토종작물' '리야기'의...
-
어릴적 농사를 짓는 집에서 자랐던 사람들은 '농사'하면 떠오르는 것은 '고된 노동'일 것이다. 나 역시 고등학교까지 농사짓는 집에서 나고 자라서 그렇게 많은 일을 도운 것 같지도 않은데 일요일과 휴일은 집안 농사일에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