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5월 31일 월요일

[도시텃밭을 가다] 서울시 양천구 - 도시농업박람회 그리고 생쓰레기퇴비화 14년의 이야기


2021년 도시텃밭 벤치마킹 첫번째 방문지는 서울시 양천구입니다.

5월 27일 ~ 30일까지 서울도시농업박람회가 양천구에서 열려 이 때에 맞춰 박람회와 함께 양천구 도시농업사례를 방문하고 왔습니다.

아침에 비가 주룩주룩 내렸지만 10시 반경 박람회장에 도착하자 비가 그쳤습니다.

서울 도시농업박람회는 올해 10회째를 맞았다. 7회 때부터 자치구에서 박람회를 유치하여 진행해서 강동구, 관악구, 중랑구를 거쳐 올해는 양천구에서 박람회를 개최했다.

http://2021.agro-cityseoul.co.kr/

박람회장에 도착하자 양천구생태공원에 전시된 다양한 텃밭들이 배치되어 있었다. 주로 폐파레트를 활용한 다양한 디자인의 텃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다행히도 박람회장에서 김진덕 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 대표(박람회 추진위원)와 최정심 교수(서울도시농업박람회 총감독)를 만나 전체적인 박람회장에 대한 컨셉과 설명을 들을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자세한 설명영상은 곧 유튜브로 올리겠습니다.)

도시농업과 힐링을 주제로 다양한 컨셉을 제시했는데 최정심 총감독은 이 주제를 이해하기 위해 주제영상 중에 "도시농부의 집"을 보시기를 추천했다. 실제 메인 관람장의 컨셉도 도시농부의 집으로 꾸며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했다.

도시농업 주제영상 - 도시농부의 집 https://youtu.be/5n4icb7Hjs0

박람회장을 관람하고 다양한 설명도 듣고나서 이동한 곳은 양천구도시농업공원이다. 서울도시농업박람회 추진위원장을 맡고 있는 생쓰레기순환공동체 이경란 대표님의 안내로 오후 견학이 시작되었다.

작년에 조성하고 운영중인 양천구도시농업공원은 공동체를 중심으로 나눔을 실천하기 위한 텃밭들과 동마다 주민들을 모아 장담그기를 한 장독대가 눈에 띄었다.

공원에 자리잡은 양천도시농업교육센터에서는 이날 박람회 프로그램으로 치유농업에 대한 심포지엄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었다. 도시농업연구회가 주관하는 행사로 온라인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주로 발표자와 토론자들을 중심으로 행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여성민우회활동을 하면서 시작된 양천구 생쓰레기퇴비화 활동은 1996년부터 시작되었다. 이미 구청에서 낙엽퇴비화 사업을 하고 있어 이와 맞물려 활동을 시작했다. 생쓰레기는 음식물쓰레기중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조리되기 전에 부산물들을 말한다. 별도로 생쓰레기만 배출하는 날을 정해 아파트마다 수거를 하고 이를 퇴비화하는 활동이다.

이경란 대표는 이를 위해 아파트를 찾아다니며 설명을 하고 설득해, 주민들을 교육(취지, 배출방법 등)하면서 참여하는 아파트를 점점 늘려갔다. 여성민우회에서 이렇게 교육과 주민조직을 하면, 구청에서는 정기적으로 생쓰레기를 수거하고 수거한 생쓰레기와 낙엽으로 신정주말농장(양천구 소재 주말농장)에서 이를 가지고 퇴비를 만들어 농장 주민들에게 쓰도록 연계했다.

침출수 등 문제가 생기자 침출수를 보아 다시 퇴비위에 뿌려주는 시설 등도 고안하고, 주민참여예산으로 퇴비장을 비닐하우스 시설로 만들어 더 체계적으로 퇴비화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한해 450톤의 생쓰레기를 수거했고, 같은 양의 낙엽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을 하면 연 900톤의 퇴비를 만드는 성과를 낸 것이다. 주민들이 교육과 협조 그리고 구청의 연계, 퇴비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이다.

14년동안 지속된 생쓰레기 퇴비화 활동은 아쉽게도 지난 2019년을 마지막으로 중단되었다. 퇴비장을 제공하고 퇴비를 만들어오던 신정주말농장에서 여러가지 사정으로 더 이상 진행하기 어렵다고 했기 때문이다. 이경란 대표는 아직도 음식물쓰레기를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계속 고민중이다. 그래서 지난 두해동안 몇번은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쓰레기처리 방법에 대해서도 시도를 했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진행되려면 역시 지역에 시설을 갖추는게 필요하다.(시범사업은 파주 동애등에 시설에서)









이경란 대표는 아직 멈추지 않은 것 같다. 계속해서 텃밭공동체를 꾸려가며 관련한 고민을 이어가고 있다. 30년간 시민사회단체에 참여하고 이끌어가면서 내 지역에 필요한 운동은 무엇인지 계속되는 고민들속에서 학교운동도, 생쓰레기퇴비화 활동도 있었고, 텃밭공동체도 있었다.

도시농업, 도시텃밭은 다양한 지역의 활동들과 이어지는 매개가 될 수 있다. 텃밭 그 자체도 의미있는 활동이 될 수 있지만 이를 통해 도시의 지역의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잘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사례를 통해 인천의 도시농부들도 여러 시도들이 만들어지길 기대한다.




철원 민통선에서 통일쌀 모내기하고 왔습니다.

 


안녕하세요.

저희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와 철원군농민회는 도농교류 관련 업무협약을 맺었습니다. 아시다시피 매년 철원으로 도농교류워크샵을 가기도 하고 또 도농교류직거래를 매분기마다 진행하고 있습니다. (올해도 1월 4월에 했고 7월 예정)

철원은 민간인통제구역(민통선)안 쪽에 어마어마하게 많은 평야가 펼쳐져있습니다. 그래서 철새(두루미)들의 서식지로도 유명하죠. 이 민통선 안에 논 하나는 통일쌀을 생산하는 논입니다. 지난 5월 29일에는 이 논에 모내기를 하는 날이라 함께 참여했습니다. 몇해 간 계속 진행되면서 참여인원이 늘어나고 있는데 올해는 소수인원으로만 하기로 결정을 내렸나봅니다. 그래서 인천에서도 초대를 받았지만 소수인원만 참여키로 했습니다. 다음에는 회원들과 도시농부들과 함께 여러명이 함께 참여하면 그 의미도 함께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여건이 되면 올 가을 벼베기때 갈 수도 있구요.







여러 명이 함께 손모내기하는 풍경을 요즘은 보기가 어렵죠.

농민들도 넓은 들녘을 모내기하기 위해 기계로 모를 내기 시작하면서 모내기는 각자의 일이되어버린지 오래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손모내기를 하니 한 시간 한 장소에서 같은 뜻으로 함께할 수 있어 좋습니다. 그래서 흥이 더 나기도 하구요. 중간중간 막걸리도 돌리고...




한시간 정도 모를 내니 모내기가 끝났습니다. 들판에서 먹는 들밥이 역시 꿀맛입니다.







그리고 인천에서 가져간 빗물을 합수하는 합수식도 가졌습니다. 원래 행사를 크게 할 때는 전국팔도의 물을 합수했는데 올해는 조촐하게 합니다. 인천의 물이 통일쌀을 키우는데 큰 도움이 되리라 믿습니다.

마지막으로 인천과 철원이 연대하는 측면에서 농민들이 피켓팅을 함께 했습니다.

"통일은 철원에서 부터! 석탄화력 폐쇄는 인천에서 부터!"




[참고] 2020년 모내기행사 기사 http://www.ikp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1071

2021년 5월 27일 목요일

도시농부특강 3 - 도시에서의 토종벼 재배 가능성 (6.3/온라인)

 


사전신청 bit.ly/도시농부특강3


★ 2021. 6. 3. (목) 오후 7시 / 온라인으로만 진행 ★

- 주제 : 도시에서의 토종벼 재배 가능성(토종벼에 대한 이야기, 도시에서 토종벼 재배)

※신청해주신 분들께 강의를 들으실 수 있는 인터넷 주소를 보내드립니다.

※특강 종료 후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유튜브 채널에 녹화영상이 올라갑니다.

- 강사 : 이근이(경기 고양 우보농장 대표)

- 주관 : 미추홀구 도시농업지원센터 (032-721-7087)

----- [2021년 상반기 특강안내] -----

7월 8일 (목) 오후 7시

[ 풀로 만드는 생활재 ]

- 7월 특강은 추후 재공지 됩니다. 인원 제한이 있습니다.

인기있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