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업전문가란?
●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는 매년 80시간 이상의 교육과정(도시농업법 제11조제1항에 의한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전문가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도시농업전문가는 도시텃밭에 적합한 농사기술의 지도, 텃밭조성 및 운영에 관한 컨설팅을 합니다.
● 도시농업전문가는 도시농업을 통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기획 및 운영을 합니다.
● 도시농업전문가는 공동체텃밭의 운영 및 지원을 통해 도시농업참여자를 지도하고 도시농업활성화 활동을 합니다.
교육개요
● 교육명 :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도시농업전문가양성 9기과정
● 기간 : 2019년 8월 7일 ~ 11월 27일 (매주 수, 토 /수 19:00~22:00/토 9:00~13:00)
● 장소 : 미추홀구 도시농업지원센터 (미추홀구 승학길 104번길 40-3 2층 강의실) / 실습텃밭 (지원센터 옆)
● 교육시간 : 102시간 (이론/실습/워크샵)
● 주관 : 사단법인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전문인력양성기관)
교육과정안내
● 도시농업 : 도시농업, 재배기술, 기반조성, 친환경농사, 관련법, 프로그램, 평가, 워크샵, 적정기술 등
● 경작실습 : 조별 경작 및 경작 보고서 발표
● 조별과제 : 우리 지역에 실현가능한 도시농업프로그램 기획안 발표(주민예산참여 예산제), 텃밭경작 보고서 발표
● 개인과제 : 관심분야 개별 주제 탐구 및 전문가 인터뷰 내용 발표
● 평가시험
수료관련
● 수료기준 - 아래 4가지 조건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 종합점수 70점 이상 (출석50%, 시험20%, 과제30%)
● 출석시간 80시간 이상
● 과제 제출 및 발표
● 시험성적 60점 이상
교육생모집
● 모집인원 : 30명
● 신청기간 : 2019년 7월 1일 10시 ~ 7월 26일 18시까지
● 교육비용 : 300,000원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회원 180,000원 / 회원가입 즉시할인)
○ 환불규정 교육시작 2일 전까지 환불, 교육시작 이후 환불조치 불가
○ 교육생 최종 선발 후 입금 계좌번호 공지
● 교육생선발 서류심사(기초과정수료자, 관련활동경험자, 회원여부, 인천지역주민 등) 후 7월 31일 발표
신청하기
▼▼클릭해서 신청하세요!
세부교육 일정
회차 | 날짜 | 시수 | 구분 | 과목 | 내용 |
1 | 8월 07일 (수) | 2 | 도시농업의 이해 | 도시농업이란? | 도시농업의 정의, 사례, 가치 |
| | 1 | 도시농업 리더십 | 도시농업, 무엇을 할 것인가? | 도시농업의 다원적가치와 활용 |
2 | 8월 10일 (토) | 2 | 도시농업 기반조성 | 밭만들기 실습1 | 토성현장 구분법, 퇴비시비법, 이랑법 |
| | 1 | 도시농업 기반조성 | 모종만들기 실습 | 배추모종 만들기, 토종배추 모종만들기 |
3 | 8월 14일 (수) | 3 | 도시농업 기술 | 텃밭농사를 위한 토양의 이해 | 토양과 비료의 이해 |
4 | 8월 17~18일 | 10 | 도시농업 프로그램 | 전문가 워크샵 | 전문가 워크샵 |
5 | 8월 21일 (수) | 2 | 도시농업 기술 | 텃밭과 과실수, 풀과 꽃 | 텃밭에서 함께 기를 수 있는 다양한 식물 |
| | 1 | 도시농업 기술 | 밭만들기 계획 | 작부체계 세우기 |
6 | 8월 24일 (토) | 2 | 도시농업 기술 | 경작실습 | 배추 직파 등 |
7 | 8월 28일 (수) | 3 | 친환경 농사와
안전한 농산물 생산 | 생태적 농사를 위한 방제법 | 친환경농법의 원리와 활용법 |
8 | 8월 31일 (토) | 2 | 도시농업 기술 | 자연농약 만들기 실습 | 자연농약 만들기 실습 |
| | 1 | 도시농업 기술 | 경작실습 | 배추 모종 아주심기, 기타작물 파종 |
9 | 9월 04일 (수) | 1 | 도시농업의 이해 | 농업의 역사 | 우리농업의 현대사 |
| | 2 | 도시농업의 이해 | 친환경 농법 | 다양한 농법의 이해 |
10 | 9월 08일 (일) | 2 | 도시농업 프로그램 | 다양한 도시농업의 형태 | 도시농부 장터 |
| | 2 | 도시농업 프로그램 | 다양한 도시농업의 형태 | 마르쉐 장터 견학 |
11 | 9월 18일 (수) | 3 | 도시농업 기술 | 토양 미생물의 이해와 활용 | 토양미생물의 이해, 텃밭농사 활용법 |
12 | 9월 21일 (토) | 2 | 도시농업 기술 | 토양 미생물 배양 실습 | 미생물 배양법 |
| | 1 | 도시농업 기술 | 텃밭관리 | 텃밭관리 및 방제하기 |
13 | 9월 25일 (수) | 2 | 도시농업 기반조성 | 퍼머컬쳐의 이해 | 퍼머컬쳐 디자인 |
| | 1 | 도시농업 기반조성 | 꿀벌의 이해와 도시양봉 | 꿀벌의 이해, 도시양봉 |
14 | 9월 28~29일 | 10 | 도시농업 프로그램 | 도농교류 워크샵 | 도농교류 워크샵 철원 |
15 | 10월 02일 (수) | 3 | 도시농업 기술 | 거름의 이해 | 퇴비만들기의 원리, 활용법, 다양한 거름 |
16 | 10월 05일 (토) | 2 | 도시농업 기반조성 | 거름만들기의 실제 | 다양한 거름만들기 실습 |
| | 2 | 도시농업 기반조성 | 자원순환 농법의 적용 | 자원순환시설과 순환농법 |
17 | 10월 12일 (토) | 2 | 도시농업 기술 | 경작 실습 | 마늘, 양파, 녹비 작물 심기 |
18 | 10월 16일 (수) | 2 | 프로그램 개발 | 도시농업프로그램의 기획 | 도시농업 프로그램의 기획 및 활용 |
| | 1 | 프로그램 개발 | 도시농업프로그램 | 프로그램 사례 및 평가 |
19 | 10월 19일 (토) | 3 | 도시농업 기술 | 적정기술이란? | 적정기술의 이해 |
20 | 10월 23일 (수) | 2 | 도시농업 기술 | 적정기술 | 적정기술 적용 및 설계 |
21 | 10월 26일 (토) | 4 | 도시농업 기술 | 적정기술 | 적정기술 메이커스 제작 |
22 | 10월 30일 (수) | 3 | 도시농업 프로그램 | GMO와 종자주권 | 농업과 관련된 사회적인 문제와 GMO |
23 | 11월 02일 (토) | 2 | 도시농업 프로그램 | 텃밭의 풀 | 텃밭의 풀의 이해와 활용 |
| | 1 | 도시농업 프로그램 | 텃밭 놀이 | 텃밭에서 생태놀이와 자연놀이, 전래놀이 |
24 | 11월 06일 (수) | 2 | 도시농업 기반조성 | 도시농업 해외사례 | 일본, 미국, 쿠바를 중심으로 |
| | 1 | 도시농업 기반조성 | 도시농업공원 | 도시농업공원의 이해와 활용 |
25 | 11월 09일 (토) | 2 | 도시농업 관련법 | 도시농업 법과 제도 | 도시농업법, 관련법, 조례 등 |
| | 1 | 도시농업 관련법 | 도시농업 법과 제도 | 도시농업 정책 사례 |
26 | 11월 13일 (수) | 1 | 도시농업 기반조성 | 공동체 텃밭 운영과 구성 | 공동체텃밭 매뉴얼 |
| | 2 | 도시농업 기반조성 | 공동체 텃밭 사례 | 공동체텃밭 운영사례 |
27 | 11월 16일 (토) | 1 | 프로그램 평가 | 시험 | |
| | 2 | 도시농업 프로그램 | 도시농업 프로그램 | 주민참여 예산제 이해 및 기획안 작성법 |
28 | 11월 20일 (수) | 2 | 도시농업 기술 | 토종씨앗 | 토종종자의 필요성과 재배법, 채종법 |
29 | 11월 23일 (토) | 2 | 도시농업의 이해 | 도시농업과 공동체 | 도시농업과 공동체, 지역사회 |
| | 1 | 도시농업의 이해 | 도시농업 전문가 | 도시농업전문가의 역할과 책임 |
30 | 11월 27일 (수) | 1 | 프로그램 평가 | 조별과제 발표 | |
| | 1 | 프로그램 평가 | 수료식 | |
*위 일정은 사정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사단법인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all.dosinong.net
● 전화 032-201-4549 전송 032-431-4549
● 이메일 office@dosinong.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