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협의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협의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4년 3월 27일 목요일

인천 도시농업에 대한 시민사회 요구를 들려주세요.

인천시의 도시농업정책에 대한 의견을 들으려 합니다.

인천광역시도시농업시민협의회(주)에서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모아 인천의 도시농업정책을 준비하려 합니다.

협의회는 인천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도시농업단체들과
도시농업정책에 도움을 주실 정책자문위원분들을 모시고
인천의 도시농업정책을 시민사회와 함께 만들어가려 합니다.


인천 도시농업정책수립을 위한 시민사회 설문조사


설문참여하기 - http://goo.gl/mO9lm9

* 시민사회단체들의 많은 설문참여 바랍니다.
* 설문조사 결과는 협의회 창립식에서 발표합니다.



인천광역시도시농업시민협의회 창립식
정책토크 "인천의 도시농업을 말하다"

2014년 4월 10일 오후 2시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실


1부 창립기념식
  • 내외빈 소개
  • 창립총회 보고
  • 인사말 및 축사
2부 인천의 도시농업을 말하다
  • 동네를 가꾸는 자투리 텃밭
  • 동남아에서 장관표창까지
  • 캠퍼스 도시농부
  • 장애인과 함께하는 힐링 텃밭
  • 아이들의 행복을 위한 텃밭교실
  • 이런 도시농업을 원한다
3부 도시농업 정책 톡톡 talk talk
  • 인천의 도시농업 할 말 많습니다.
  • 6명의 발표자와 함께하는 토크 콘서트
  • 인천 도시농업의 내일을 상상하며 다양한 의견을 나누어 봅니다.

* 끝까지 참여하시는 모든 분들께는 소정의 기념품을 드립니다.


인천광역시도시농업시민협의회 
준비위원장 (김진덕 010-4323-6964), 준비위 간사 (김효진 010-3877-0421)



2013년 11월 13일 수요일

인천도시농업시민협의회 구성을 제안하며

인천도시농업시민협의회 구성을 제안하며

인천에서 도시농업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들의 협의회 구성을 제안합니다.
지난 2007년 도시농업네트워크를 만들면서 다양한 단체들의 네트워크활동을 통한 도시농업의 활성화를 꿈꾸며 활동해 왔습니다. 도시농부학교, 생태텃밭교실 등을 통해 회원단체로 거듭나면서 도시농업네트워크라는 이름이 명실상부한 도시농업단체로 불려지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인천시 전체에 대한 사업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습니다. 다행히, 그 사이 지역에 몇개의 단체들이 만들어지고, 또 도시농업활동을 하는 단체들이 생겨나면서 인천의 다양한 곳에서 도시농업활동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지난해 인천시 도시농업조례가 만들어졌지만, 아직 인천의 도시농업정책이라고 말할 만한 내용은 없습니다.

어찌보면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행정이 먼저 앞서가는 도시농업정책의 경우 시민사회 의견이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거나, 시민사회역량이 행정정책을 못 따라가는 경우가 많고, 민관거버넌스를 안정적으로 구축한 사례도 거의 없습니다. 인천시의 도시농업정책은 이제 막 시작하려고 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민사회 역량을 모아 인천시와 민관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지속적인 도시농업정책 제안과 인천시 차원에서 도시농업운동에 대한 고민을 함께 했으면 합니다.

이에, (가)인천도시농업시민협의회의 구성을 제안합니다.
이미 전국조직으로 도시농업시민협의회가 2012년 3월 구성되었고, 전국 40여개 단체들의 협의회로 발전했습니다. 도시농업활동을 하는 시민단체,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도시농업공동체를 회원으로 하고, 인천시 도시농업정책제안 및 연구조사활동, 도시농업활동 공유 및 정기포럼, 도시농업 교육지원활동, 단체간  인적교류활동, 도시농업활동가역량강화활동을 통해 인천의 도시농업활성화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오는 11월 22일 ‘인천시도시농업정책토론회’의 자리에서 첫 모임의 자리를 마련코자 합니다.

장소: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실 또는 근처식당
시간: 11월 22일 오후 5시 (2시 토론회 이후)

제안자: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대표 김충기

인기있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