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7월 16일 목요일

'도시농업관리사' 국가자격증 시대에 다시 생각하는 '도시농부학교', '도시농부'


오늘(7월 16일)을 기점으로 인천에서 진행되었던 도시농부학교 3개의 과정이 모두 끝이 났다. 

올해 인천에서는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가 관여하여 진행했던 도시농부학교 3곳에서 동시에 진행되었다. "인천도시농부학교 15기"과정은 미추홀구도시농업지원센터에서, 부평구청이 주최하고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가 운영한 "부평도시농부학교 5기"과정은 부평구 부영텃밭에서, 올해 처음으로 한해 농사(작년 가을농사로 시작)를 시작한 연수구 송도석산텃밭에서는 "연수도시농부학교 1기"가 진행되었다.




도시농부학교는 2005년 전국귀농운동본부 도시농업위원회에서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도시농부'라는 용어와 '도시농업'이라는 개념도 이때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이 도시농부학교를 기반으로 (이를 수료한) 활동가들이 각 지역에서 도시농업운동을 시작하면서 사실상 민간주도의 도시농업운동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지역에서의 도시농업운동도 대부분은 '도시농부학교'로 시작되었다.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는 2007년에 결성되었지만, 사실상 단체의 꼴을 갖추고 도시농부들 양성하기 시작한 2009년이 인천 도시농업운동의 확산기라고 볼 수 있다. 인천도 이때(2009년) 도시농부학교를 시작한다. 이때 도시농부학교에서 배출된 도시농부들이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의 성장을 함께 만들어가는 핵심주체가 된다. '도시농부'라는 정체성과 도시농업운동은 가장 중요한 고리이다. 그렇게 민간활동의 확장으로 제도화되는 도시농업은 2011년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기에 이른다.

제도화 이후에 도시농업은 비약적인 양적 성장을 기록하면서 2019년 현재 2010년 대비 도시농업참여자는 16배(15만에서 242만명, [2020년 도시농업 시행계획] 농림축산식품부)에 이르고, 도시텃밭은 13배 가까이(140ha에서 1323ha, 같은자료) 늘어나기에 이르렀다. 10년 동안 많은 성과로 할 수 있고, 최근에는 수도권중심의 활성화가 아니라 지방 중소도시로까지 도시농업사업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양적인 성장의 이면에는 눈여겨 살펴야할 부분이 있다. 도시농업참여자의 숫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많은 수의 '도시농업참여자'가 '어떤 실천을 하고 있는가?'이다. 대부분의 도시농업참여자들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조성한 '공영농장'에 참여하는 시민들 그리고 학교텃밭에 참여하는 학생들, 도시농업박람회에 참여했던 시민들이다. 이런 참여들을 통해 도시농업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자원순환, 생태적인 삶, 건강한 먹거리, 이웃과 공동체로 얼마나 진전되고 있을까?

이렇게 생각하니 양적으로 성장한 도시농업은 숫자늘리기에는 성공했지만, 도시농업의 본질적인 가치를 발휘했는지와는 별개였다. 앞에서 이야기한 민간에서의 도시농업운동을 주도하던 단체들은 고민에 빠졌다. 도시농운동은 제대로 가고 있는가? 우리는 어떤 도시농부들을 양성하고 있으며, 도시농부들의 공동체를 만들어내고 있는가? 





도시농부양성이라고 했는데 "도시농부는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에 명확한 답이 먼저 필요했다. 그동안 '도시농부학교'를 통해 우리는 도시농업운동을 함께하는 시민들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도시농부'에 대한 구체적인 선언을 통해 다시 도시농업운동의 기본부터 생각해야 했다. 2013년 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는 이런 문제의식에 대한 답을 찾아 토론했고 마침내 '도시농부선언문'을 발표했다.

도시농부는

    • 회색의 콘크리트와 도시의 버려진 공간을 생명이 자라는 녹색의 공간으로 만들어 간다.
    • 단절된 세대와 이웃,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잇는 공동체텃밭을 만들어간다.
    • 버려지는 유기자원을 이용한 자원순환 퇴비 만들기, 빗물의 이용, 화학에너지에 의존하지 않는 삶의 방식을 배우고 실천한다.
    • 꿀벌을 기르며, 풀과 곤충과 사람이 어우러지는 생태도시의 미래를 일군다.
    • 텃밭에서 아이들을 교육하며, 농부학교를 통해 시민교육의 장을 형성해 간다.

선언문에 따르면 도시농부는 텃밭을 분양받아 열심히 농사지어 건강한 먹거리, 심신의 건강이나 치유적인 혜택을 위해 농사에 참여하거나 체험하는 사람들을 지칭하지 않는다. 농사를 통해 얻어지는 효과와 발휘되는 가치를 더 폭넓게 확장시켜 도시농부들을 공익적인 활동가로 의미를 부여했다. 같은 행위를 하는 도시농부들에게 의미부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개인적인 농부냐 공익활동가이냐로 구분되어 진다. 그렇다고 개인적인 이점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도시농부들이 공익적인 가치를 인식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의 문제인 것이다.

도시농업운동은 도시농부들의 실천으로 만들어진다. 그래서 도시농부학교가 출발점이다. 최근에 '도시농업관리사'라는 국가자격증이 생기면서 이를 취득하기 위해 도시농업전문가과정 교육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고, 이에 부응하듯이 '도시농업전문인력양성기관'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애초에 하나의 단계처럼 여겨졌던 도시농업기초과정(도시농부학교에 해당하는) 없이 전문가과정만을 진행하는 것이 당연시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도시농업전문가과정에 기초과정없이 수강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다시 '도시농업관리사 심화과정'이 생기기도 하고 있다. 전문가과정이 '기초', '심화'로 나누어진 것이다.

도시농부학교는 농사를 짓고 싶어하는 도시민들에게 이웃과 관계를 만드는 농사를, 자원순환 퇴비를 만드는 농사를, 생태도시를 꿈꾸고 아이들을 교육하는 농사를 그리고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농사를 알려주는 과정이다. '친환경 먹거리를 재배하는 기술' 만으로는 개인의 욕구를 채워주는 것을 넘어서기 힘들다. 그런 의미에서 도시농업교육과정은 '도시농부'라는 시민을 양성하는 시민교육이어야 한다.





이렇게 많아진 도시텃밭(공영도시농업농장)마다 도시농부학교가 있어야 한다. 텃밭체험이 아닌 실천하는 시민으로의 도시농부들의 지속적인 실천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그 도시농부들이 모인 공동체텃밭으로 지속가능성을 보장해야 한다. 그래야 도시농업운동이 지속가능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인기있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