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월 4일 수요일

강연도 듣고 토종종자 18가지도 나눔 받은 도시농부들

강연도 듣고 토종종자 18가지도 나눔 받은 도시농부들 



4월의 마지막 날
인하대 학생회관 회의실에서 토종종자 나눔 및 강연이 있었다.

100여가지의 토종종자들이 전시물과 토종종자에 대한 다양한 설명이 있었다.

우리는 그냥 강낭콩이라고만 하지만 강낭콩도 넝쿨종류, 키 작은 강낭콩이 있고, 색도 검은색, 적색, 갈색, 흰색에 다채롭고 얼룩무늬들도 여러가지가 있었다.



한 쪽에는 변현단선생님 저서와 토종씨드림 대표인 안완식대표님의 씨앗메뉴얼도 판매되었다.





앞으로 인천에는 종자를 받기위해 재배되는 채종포를 18개 단체와 개인 한 명의 텃밭에서 운영하기로 하였다.

(채종포 : 우리농촌살리기인천운동본부, 공항소방서, 남동희망공간, 녹색연합 도시농사꾼, 부평자활센터 도시농업팀, 생태텃밭협동조합, 서구민중의집, 소방관의자연농장, 숲속의유치원, 인천대학교 동아리 ‘터앝’, 인하대학교 동아리 ‘씨앗’, 인천사람연대 지렁이농장, 철학하는 꼬마농군,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도림텃밭, 서창텃밭, 살라리텃밭, 여우재텃밭, 자연농업연구회, 김태분 개인밭)

이런 여러사람의 마음을 모아서 내년에는 더 많은 토종종자가 인천 시민들의 품으로 갈 것이다.



이날 자리에는 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 김진덕 상임대표님이 축사를 해주셨다.
인천에서 토종종자를 계기로 많은 단체들이 교류하고 협력하기를 바란다는 좋은 이야기를 해주셨다.



변현단 선생님의 강의는 매우 열정적으로 진행되었다. 예상시간보다 한시간이나 넘긴 강의는 선생님이 토종에 대한 애정을 느낄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토종종자란 '한 세대 이상 한 지역의 토양과 기후에 적응되어 농부의 손에서 채종[採種]되고 육종[育種]되어진 종자'라고 한다.
그래고 우리땅에서 나고 자란 우리의 몸에는 토종작물들이 가장 건강에 좋다고 한다. 우리기후에 맞지 않은 외래 음식들은 우리를 병들게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요즘은 수입과일이나 채소들이 많아 다양한 것을 먹을 기회가 많지만 그것은 우리 기후, 내 몸에 맞는 것인 지 다시 생각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특이한 것은 토종종자들은 고정된 이름이 없다는 것이다. 어느지역에서는 새대가리팥이 다른 지역에 가면 개골팥이라고 부르는 데 그것은 모두 한 종자의 이름이다. 지역마다 사람들이 옛날부터 부르던 이름이 다르기 때문이라 고정된 이름이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지역에 따라 같은 종자를 가지고도 다른 형질의 채소가 발현되기도 한다.
붕어초를 여러 지역에서 심었는데 그것이 지역마다 모양이 다르게 나와서 다시 여러갈래로 갈라져서 불려진다고 한다.

그래서 우리밭에 몇 년째 심어서 형질이 다르게 나온 작물이 있다면 그것의 이름을 '여우재매운고추', '소자농키작은고추' 식으로 이름을 변형하여 불러도 된다는 것이다.

변현단 선생님은 현재 형질이 다르게 나오는 채소들을 불리해서 따로 심어 그 형질이 고정될 수 있도록 재배하고 있다고 한다. 채종포에서도 따로 분리. 관리를 해보라고 권하셨다.













토종가지의 껍질은 개량가지보다 얇다. 자연적으로 껍질이 두꺼운 경우는 가뭄에 의해 수분섭취가 원할하지 않을 때 작물은 껍질이 두껍다고 한다.
그러나 개량가지가 껍질이 두꺼운 것은 종자 자체가 가지고 있는 형질인 것인데 이것은 유통과 농약에 있다. 농약에 이겨야 하기때문에 껍질을 두껍게 하는 것이고 유통과정에서 채소가 무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 껍질을 두껍게 개량하는 것이다.

 채소를 수확하고 소비자가 있는 도시로 유통되어 식탁에 오르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어도 무르지 않는다면 해외로 수입, 수출에도 자유로울 것이다. 그래서 토종채소들은 로컬푸드로 근처에서 바로 2~3일내에 먹을 수 있게 하지 않는 이상 유통을 목적으로 재배하면 실패를 하게 된다. 그런 이유로 토종은 집에서 내가 길러서 내가 먹는 용이 적합한 경우가 많다. 사과참외도 유통에는 불리하지만 당도가 높아서 집에서는 꼭 길러먹고 싶은 토종참외 중에 하나이다.

 농민의 수가 점점 줄어들면서 한 농민당 소비자의 식탁을 책임져야 하는 식량의 양은 더 늘어 나서 농약의 사용량이 증가되었고, 유통을 중심으로 종자를 선택하다보니 점점 다양한 우리 종자들이 사라져 가는 것이다.

변현단 선생님은 현재 토종배추 중에 결구 배추 하면 모두 구억배추만 있는 줄 알고 다들 구억배추만 심고 있다면서 이것 역시 문제라고 생각하신다고 하셨다. 관행농으로 인해 종의 다양성이 사라지고 종자를 거대자본인 종자시장이 파는 소수의 것만 심게 되는 것이 현재 농사의 문제이다. 그런데 결구되는 배추중에 마치 구억배추만이 좋은 것이라고 생각되어 구억배추만 심으면 그것역시 토종의 단일화가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올해 새롭게 시도하고 있는 토종결구배추들에 대한 이야기도 해주셨다.



강연 마지막에 변현단 선생님은 인천토종종자 채종포를 운영하는데 채종포 단체들이 2~3가지 종자를 선택하면 그것이 계속 곳에 가면 얻을 수 있는 씨앗이 될 수 있도록 특화하길 바란다고 하셨다. 그래야 종자도 형질이 변형되지 않고 안정화 될 수 있고 진정한 종자 나눔이 될 수 있다고 하셨다.

강연을 들은 후에는 18가지의 종자(적배추상추, 청근대, 조선오이, 사과참외, 적까치콩, 흰까치콩, 당귀, 청참외, 노란참외, 넝쿨납작강낭콩, 잿밭, 율무, 토종아욱, 구억배추, 곡성초, 차조기, 쥐이빨옥수수, 흰올들깨)중 5가지를 받아 갈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었다.




그리고 강연후 변현단 선생님과 뒤풀이를 진행하면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리고 토종종자보급사업을 인천이 본격적으로 시작했는데 타 지역보다 조금 늦은 시작이지만 이것을 단순히 종자 보급만으로 하지 않고 더 넓게 우리 먹거리를 지키고 GMO를 막아내는 운동으로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길 바라셨다.



토종종자를 지키고 키운다는 것은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 농민이 종자를 선택할 수 있는 것, 우리 몸에 맞는 것을 먹는다는 것 등 다양한 의미가 있기에 앞으로 인천에서 새롭게 만들어 가야 할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인기있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