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참여할 도시농부참가단을 모집합니다.
함께 출발하고 뭉쳐서 재미있고, 의미있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인천에서 함께 출발하기]
- 장소 : 1호선 부평역 서울방향 플랫폼 맨 앞쪽(1호)
- 시간 : 9월 23일 오후 1시
* 기타지역 별도
참가신청 bit.ly/923참여
924기후정의행진 홈페이지
https://action4climatejustice.kr/
문의 : 김충기 010-3294-9822
Incheon Urban Agriculture Network (Urban Agriculture Support Center,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도시농부들의 기후실천, 그리고 모임
지난 8월 31일, 도시농부 기후모임 '지금,당장' 모임이 있었습니다. 올해 4월 첫 모임을 했다가 몇차례 더 진행되었고, 함께 영화를 보거나 영상을 보고 공부하고 이야기하누는 시간들이 었습니다. 기후위기에 대해 모두가 관심을 갖고 실천거리를 찾고 있으며, 자발적으로 이렇게 모이시는 분들이 있어 반가웠습니다.
https://cafe.naver.com/dosinongup/17570
https://cafe.naver.com/dosinongup/17676
https://cafe.naver.com/dosinongup/47822
인천의 도시농부들은 그동안 도시농부기후비상선언, 지구를살리는 도시농부 행동, 탄소잡는 퇴비만들기 활동 등 다양한 실천을 해오고 있어 누구보다 기후위기에 민감하면서 감수성 높은 실천도 해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매년 이맘때 열리는 글로벌기후파업이 오는 9월23일 서울에서도 열립니다.
함께 목소리를 모아 '기후정의행진'에 참여하면 좋겠네요.
함께 참여할 도시농부참가단을 모집합니다.
함께 출발하고 뭉쳐서 재미있고, 의미있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인천에서 함께 출발하기]
- 장소 : 1호선 부평역 서울방향 플랫폼 맨 앞쪽(1호)
- 시간 : 9월 23일 오후 1시
* 기타지역 별도
참가신청 bit.ly/923참여
924기후정의행진 홈페이지
https://action4climatejustice.kr/
문의 : 김충기 010-3294-9822
2023 도시농업전문가양성과정 신청안내
* 도시농업 전문가 과정이란?
- 2017년 개정된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2017년 9월 22일부터 시행)에 따라, 도시농업국가자격증 [도시농업관리사]를 취득하기 위한 교육과정
* 도시농업관리사란?
- 도시농업의 가치를 구현하고 삭막한 도시환경의 생태적 복원 및 공동체로의 연결을 이어가는 활동가
* 텃밭교육활동가란?
- 도시농업관리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도시농업 및 생태텃밭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각 기관(영.유 아, 초.중.고 학교 및 도시농업공동체 등)에서 교육활동을 진행하는 강사. 생태감수성, 환경의 중 요성, 공동체의 가치 등을 교육과정을 통해 확산하는 활동가
“도시농업을 통한 공동체로의 연결 및 생태텃밭교육의 현장에서 활동할
도시농업전문활동가분을 기다립니다.”
---- 2023년 교육과정 안내 ----
<교육개요>
● 교육명 :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도시농업전문가양성과정 (12기)
● 기 간 : 2023년 8월 9일 ~ 11월 15일 (매주 수, 금 09시~13시/ 1박2일 워크숍 및 도시농업관련토론 회 등 참여/ 28회 110시간)
● 장 소 : (사)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강의실 및 실습텃밭(서창동 466번지)
● 주 관 : 사단법인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도시농업전문인력양성기관)
회차 | 날짜 | 시수 | 구분 | 과목 |
1 | 8월 9일(수) | 1 | 오리엔테이션 | 교육과정오리엔테이션 |
2 | 도시농업이론 | 도시농업의 이해 | ||
2 | 8월 11일(금) | 2 | 경작이론 | 건강한 농사와 흙 |
2 | 경작실습 | 배추 모종내기 | ||
3 | 8월 16일(수) | 2 | 도시농업이론 | 다양한 도시농업의 형태와 전문가의 역할 |
2 | 도시농업이론 | 전문가의 역할토론/텃밭교육기록의 필요성 | ||
4 | 8월 18일(금) | 2 | 경작이론 | 농사의 기본/텃밭설계하기 |
2 | 경작이론 | 다양한 퇴비와 친환경 유기비료의 이해 | ||
5 | 8월 23일(수) | 2 | 경작실습 | 밑거름 넣기 및 텃밭만들기 |
2 | 경작실습 | 퇴비만들기 실습 | ||
6 | 8월 25일(금) | 2 | 경작이론 | 텃밭의 곤충과 생명 |
2 | 텃밭교육실습1 | 작물활용 천연염색 | ||
7 | 8월 30일(수) | 2 | 텃밭교육1 | 텃밭교육의 다양한 형태와 사례 |
2 | 텃밭교육실습2 | 나의 텃밭교육설계(프로그램기획1) | ||
8 | 8월 30일(수) | 3 | 도시농업이론 | 인천도시농업정책토론회 |
9 | 9월 1일(금) | 2 | 경작실습 | 다양한 유기비료 만들기(균배양체, 액비, 퇴비차) |
2 | 경작실습 | 파종 및 모종심기 | ||
10 | 9월 6일(수) | 2 | 경작이론 | 시기별, 작물별 천연방제법 |
2 | 경작실습 | 천연방제재 만들기/쪽파, 갓 파종 | ||
11 | 9월 8일(금) | 2 | 텃밭교육2 | 학교텃밭의 이해 |
2 | 텃밭교육실습3 | 텃밭교육프로그램의 기초(프로그램기획2) | ||
12 | 9월 13일(수) | 2 | 도시농업이론 | 기후위기와 도시농업의 역할 |
2 | 도시농업이론 | 공동체와 전환운동 | ||
13 | 9월 15일(금) | 4 | 도시농업실습 | 23년 대한민국 농업박람회 |
14 | 9월 20일(수) | 2 | 텃밭교육3 | 다양한 학교텃밭의 형태, 교육자료 만들기의 기본 |
2 | 텃밭교육실습4 | 피피티활용, 세부교육안 작성법, 과제안내 | ||
- |
| (4) |
| 논학교메뉴얼발표회(교육시간 4시간 추가) |
15 | 9월 22일(금) | 3 | 경작실습 | 텃밭관리/텃밭방제 및 시기별 거름주기 |
16 | 9월 23일(토) | 5 | 평가1 | 과제발표(개인 프로그램 발표)/조별수업실습기획 |
2 | 텃밭교육실습5 | 텃밭생태놀이 | ||
9월 24일(일) | 4 | 도시농업실습 | 도농교류 | |
17 | 10월 4일(수) | 3 | 도시농업이론 | GMO이야기 |
18 | 10월 6일(금) | 2 | 경작이론 | 토종농사와 채종법, 채종실습 |
2 | 경작실습 | 텃밭관리/웃거름 넣기 | ||
19 | 10월 11일(수) | 2 | 도시농업이론 | 숲밭과 퍼머컬처 |
2 | 텃밭교육실습6 | 교육텃밭 디자인하기 | ||
20 | 10월 13일(금) | 2 | 도시농업이론 | 도시농업 해외사례 |
2 | 도시농업이론 | 도시농업 법과 제도 | ||
- | 10월 14일(토) | (4) |
| 공동체텃밭 한마당(교육시간4시간 추가) |
21 | 10월 18일(수) | 3 | 도시농업실습 | 텃밭견학(이음리이야기) |
22 | 10/4~10/24 | 3 | 텃밭교육실습7 | 텃밭교육실습(참관 또는 보조강사) |
23 | 3 | 텃밭교육실습8 | 텃밭교육프로그램운영(현장수업-조별) | |
24 | 10월 20일(금) | 2 | 경작이론 | 지렁이의 생태 |
2 | 경작실습 | 다양한 지렁이사육법, 양파심기 | ||
25 | 10월 27일(금) | 4 | 텃밭교육실습9 | 작물활용 저장음식 만들기(장아찌, 고구마줄기, 무처엮기 등) |
26 | 11월 3일(금) | 1 | 평가2 | 도시농업전문가 시험 |
2 |
| 정답 및 자세한 풀이/조별 발표 준비 | ||
27 | 11월 10일(금) | 3 | 경작실습 | 수확 및 갈무리/ 텃밭정리 |
28 | 11월 15일(수) | 2 | 텃밭교육실습10 | 텃밭교육 보고서 및 경작보고서 발표 |
2 |
| 수료식 | ||
계 |
| 110 |
|
|
*일정은 날씨 및 교육운영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안내>
- 도시농업관련 경작기술, 기반조성, 친환경농사, 관련법, 프로그램, 평가, 워크샵, 견학 등
- 도시농업 전문활동가과정실습 : 개별 교육프로그램 작성, 조별 프로그램 보조강사 및 참관 보고, 조별 교육프로그램 운영 보고
- 조별과제 및 개인과제 발표 및 제출, 강의후기 작성
- 평가시험
<수료관련>
* 수료기준 : 아래 4가지 조건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1) 종합점수 70점 이상 (출석40%, 시험30%, 과제30%)
2) 출석률 : 88시간이상 출석(전체교육시간의 80%)
3) 과제 제출 및 발표
- 개인과제 : 주제별 개별 교육프로그램 계획안 완성
- 조별과제 : 매 회 강의후기 작성, 텃밭교육 참여 및 운영 결과보고서 및 경작보고서 발표
4) 평가시험 : 60점 이상
<교육생모집>
● 모집인원 : 30명
● 신청기간 : 2023년 7월 5일 10시 ~ 7월 28일 18시까지
● 교육비용 : 500,000원
○할인혜택: 아래 해당자는 30%할인
-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회원(가입즉시할인) 단, 15개월 이상유지 조건
- 청년 : 만40세 미만
- 비영리단체 상근활동가(1년이상 재직자/재직증명서 제출)
○ 교육시작 2일 전까지 환불 , 교육시작 이후 환불조치 불가
○ 교육생 최종 선발 후 입금 계좌번호 공지
● 교육생선발
- 서류심사 우선순위 : 도시농업기초과정(도시농부학교)수료자, 텃밭관련 활동 경험자, 인천도시농 업네트워크 회원여부
- 합격자 발표 : 8월 1일 오후 2시 카페공지 및 개별문자발송 (필요시 추가면접)
교육신청하기 : https://forms.gle/GyJuSuqyxh7xArhy9
홈페이지 : 사단법인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all.dosinong.net
전 화 : 032-201-4549
이 메 일 : office@dosinong.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