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 관련 이슈가 계속 터져나온다.
도시농업 한편에서는 토종종자를 살리자는 운동을 하는 반면
농민들은 당장의 위험으로 몰려오는 농진청의 GMO벼 시험재배에 반대하는 집회를 한다.
4월 30일 토종종자행사를 하면서 도시농부들은 자연에 가까운 농사와 씨앗에 대해 부푼꿈을 안고 훌륭한 이야기를 듣고, 씨앗도 받아갔다.
같은날 전주(농진청이 전주와 완주가 접한 지역으로 이전)에서는 농진청의 GMO 벼실험 재배와 관련된 규탄대회가 있었다.
요즘 연일 이와 관련된 정보가 SNS에 쏟아지고 있다.
5월 25일 김은진 교수에게 이와 관련한 이야기를 들어보자.
- "GMO와 종자주권" / 김은진 /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사무실
- 5월 25일 오후7시
- 11기 도시농부학교 열린강의 / 도시농업네트워크 회원 무료 / 비회원 1만원
Incheon Urban Agriculture Network (Urban Agriculture Support Center,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2016년 5월 16일 월요일
2015년 6월 9일 화요일
밥상을 되찾자! 농업을 세우자!
6월 월례강좌 - 위기의 밥상, 안전한 먹거리 (김은진)
6월 5일 두번째 월례강좌가 진행되었습니다.
지난 3월 퇴비강의 이후 오랫만에 진행된 강의였습니다. 많은 분들이 함께 하셨고, 늦게까지 진행된 강의에도 끝까지 남아 열띤 강의가 이어졌습니다.
단순히 GMO가 좋지 않다. 식품첨가물이 좋지 않다는 이야기는 현상만 이야기할 뿐입니다. 김은진교수는 강의를 통해 왜 이렇게 오게되었는가를 입체적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이를 극복할 방법도 근본적인 변화에서 오지 않으면 안된다고 이야기합니다.
우리 먹거리가 글로벌하게 변화된 과정부터 지금의 밥상용쌀까지 위협받고 있는 상황은 우리 스스로 원해서 그렇게 되었다기보다는 구조적인 문제가 크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중국산 농산물을 원하는가? GMO로 만든 식품을 원하는가?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값을 떠나 안좋은 먹거리를 원하지는 않을 겁니다. 그렇지만 서서히 구조화되고 기업이 원하는 방식때로 따라가기 시작하면서 지금의 먹거리를 만들어왔습니다.
먹거리는 단순히 밥상만 바꾸지 않습니다.
기업의 상품으로 나온 냉동식품은 조리과정이 간단하여 바쁘게 사는 사람들에게 손쉬우면서 맛있는 반찬으로 제공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면서 냉장고가 커지기 시작했습니다. 지금은 한집에 냉장고 2~3개쯤은 기본으로 있게 되었죠. 냉동식품은 또한 식용유소비를 늘리게 되었습니다. 튀기거나 볶아서 사용하는 제품이 대부분이기 때문이죠. 이는 폐식용유의 환경오염문제와 함께 식용유로 쓰이는 옥수수, 콩의 자급률 또한 낮아지게 되는 결과를 만듭니다.
지금은 대형마트에 가면 그동안 집에서 직접 만들던 먹거리들이 없는게 없습니다. 김치와 된장, 고추장은 그렇게 된지 오래되었고, 밥과 국도 간단하게 데우면 먹을 수 있는 것들이 천지에 깔려있습니다. 이런 식품들은 모두 표준화되어 있고, 규격화되어 있습니다. 본디 음식이 할때 마다 맛이 미묘하게 차이가 날진데, 제품으로 나온 음식들은 모두 언제나, 어디서나 맛이 같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당연히 어떤 것들을 첨가하여 모든 제품을 평균치로 만들어버릴 겁니다.
현대인의 음식은 밥상을 중심으로 하지 않습니다.
'아침엔 우유한잔, 점심엔 패스트푸드'까지는 아니어도 집에서 밥상을 차려 밥과 반찬을 온전히 차려먹는 집밥을 일주일이면 몇끼나 먹을까요? 이 밥상을 다시 찾지 않고 먹거리의 대안을 이야기할 수 없을 겁니다.
도시농업네트워크 월례강좌는 10월까지 계속됩니다.
7월 월례강좌 예고 - 적정기술 워크샵 (햇빛건조기, 사탕깡통포켓스토브 만들기)
7월 11일(토) 오후2시 / 도림텃밭 (남동구 도림동 109번지)
신청하기 - https://goo.gl/MrwMs9
6월 5일 두번째 월례강좌가 진행되었습니다.
지난 3월 퇴비강의 이후 오랫만에 진행된 강의였습니다. 많은 분들이 함께 하셨고, 늦게까지 진행된 강의에도 끝까지 남아 열띤 강의가 이어졌습니다.
단순히 GMO가 좋지 않다. 식품첨가물이 좋지 않다는 이야기는 현상만 이야기할 뿐입니다. 김은진교수는 강의를 통해 왜 이렇게 오게되었는가를 입체적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이를 극복할 방법도 근본적인 변화에서 오지 않으면 안된다고 이야기합니다.
우리 먹거리가 글로벌하게 변화된 과정부터 지금의 밥상용쌀까지 위협받고 있는 상황은 우리 스스로 원해서 그렇게 되었다기보다는 구조적인 문제가 크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중국산 농산물을 원하는가? GMO로 만든 식품을 원하는가?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값을 떠나 안좋은 먹거리를 원하지는 않을 겁니다. 그렇지만 서서히 구조화되고 기업이 원하는 방식때로 따라가기 시작하면서 지금의 먹거리를 만들어왔습니다.
먹거리는 단순히 밥상만 바꾸지 않습니다.
기업의 상품으로 나온 냉동식품은 조리과정이 간단하여 바쁘게 사는 사람들에게 손쉬우면서 맛있는 반찬으로 제공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면서 냉장고가 커지기 시작했습니다. 지금은 한집에 냉장고 2~3개쯤은 기본으로 있게 되었죠. 냉동식품은 또한 식용유소비를 늘리게 되었습니다. 튀기거나 볶아서 사용하는 제품이 대부분이기 때문이죠. 이는 폐식용유의 환경오염문제와 함께 식용유로 쓰이는 옥수수, 콩의 자급률 또한 낮아지게 되는 결과를 만듭니다.
지금은 대형마트에 가면 그동안 집에서 직접 만들던 먹거리들이 없는게 없습니다. 김치와 된장, 고추장은 그렇게 된지 오래되었고, 밥과 국도 간단하게 데우면 먹을 수 있는 것들이 천지에 깔려있습니다. 이런 식품들은 모두 표준화되어 있고, 규격화되어 있습니다. 본디 음식이 할때 마다 맛이 미묘하게 차이가 날진데, 제품으로 나온 음식들은 모두 언제나, 어디서나 맛이 같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당연히 어떤 것들을 첨가하여 모든 제품을 평균치로 만들어버릴 겁니다.
현대인의 음식은 밥상을 중심으로 하지 않습니다.
'아침엔 우유한잔, 점심엔 패스트푸드'까지는 아니어도 집에서 밥상을 차려 밥과 반찬을 온전히 차려먹는 집밥을 일주일이면 몇끼나 먹을까요? 이 밥상을 다시 찾지 않고 먹거리의 대안을 이야기할 수 없을 겁니다.
도시농업네트워크 월례강좌는 10월까지 계속됩니다.
7월 월례강좌 예고 - 적정기술 워크샵 (햇빛건조기, 사탕깡통포켓스토브 만들기)
7월 11일(토) 오후2시 / 도림텃밭 (남동구 도림동 109번지)
신청하기 - https://goo.gl/MrwMs9
2013년 10월 8일 화요일
GMO와 우리의 먹거리에 대해 알아보자. 10월21일 무료강연
GMO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먹고있는 유전자변형먹거리, 어떻게 볼 것인가?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에서 남동구평생학습우수프로그램사업으로 먹거리 대중강연을 합니다. 특히, 아이를 키우시는 주부들과 안전한 먹거리, 농업에 대해 관심있는 분들이 들으면 좋은 강연입니다.
일시: 2013년 10월 21일 오전 9시30분
장소: 남동구청 7층 소강당
강사: 김은진(원광대 법학교 교수)
참가비: 무료
후원: 남동구청
주관: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문의: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032-201-4549
바로신청하기 <- 클릭
피드 구독하기:
글 (Atom)
인기있는 글
-
농생태학 공부 *농생태학은 농업과 생태학을 합친 말로, 생태과학의 적용이자 지속가능한 농생태계를 기획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과학이면서 실천이다. 누가_ 관심있는 누구나 언제_ 한 달에 한 번 (참여자를 모아보고 5명 이상이 모이면 날을 ...
-
소자농의 파종에서 채종까지 - 인천지역에서 씨앗으로 재배하는 토종조선오이 다다기 오이 , 백오이라 칭하는 시장에서 판매하는 개량종 오이는 노지 밭에서 장마가 시작되면 수명을 다하여 텃밭에서 자급하는 식재료로 아쉬움이 있다 . 그러나 토종조...
-
글 : 유형민(소자농, 사단법인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이사) 소자농의 파종에서 채종까지 이 연재글은 변현단 (씨드림대표) 선생의 토종농사는 이렇게 라는 책과 오도선생(홍성씨앗도서관원장)의 씨앗받는 농사매뉴얼 이란 책,...
-
소자농의 파종에서 채종까지 배추와 관련된 기록은 고려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 까지 실로 흥미로운 기록과 뒷이야기 등이 많이 소개되어 있다 . 해외여행을 가서라도 김치를 그리워하는 한민족이며 우리나라 채소 소비량이 외국보다 높은 이...
-
2024 년 인천형 공동체 도시텃밭 조성사업 2024년 이음텃밭 참여자 모집 인천시는 시민들의 다양한 참여로 만들어가는 새로운 형태의 공동체텃밭을 조성하고 이를 통해 기후위기대응 , 공동체형성 , 지역사회 나눔 및 돌봄의 역할을 함께 만들어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