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월 19일 토요일

[공지]2019 도시와 농촌을 잇는 1월 농산물 직거래




도시와 농촌을 잇는 농산물 직거래
with 철원군농민회


도시농부들이 나서서 농촌과 이어지는 도농교류활동 농산물직거래
2019년에도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는 1, 4, 7, 10월 직거래를 하기로 했습니다.
농민에게 우리농업 응원을! 도시민에게 믿을 수 있는 먹거리를!


---

1월 직거래 안내

2019년이 밝았습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도농직거래가 이어집니다.
정성껏 재배한 농산물이 누군가에게 가서 건강한 식탁위로 이어지는 과정은 참으로 아름다운 것 같습니다. 설날도 얼마 남지 않았으니 직거래를 통해 고마운 마음을 전하는 건 어떨까요?  

모든 먹거리는 철원군농민회 회원분들이 농사지은 것으로
대다수 농산물은 인증을 받지 않았지만 제초제를 뿌리지 않았거나 유기농으로 키운 안전한 농산물입니다.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후원)회원과 일반인분 가격에 차이가 있습니다.
*인천외 지역도 배송가능합니다(단! 배송비 별도)

주문 : 1월 27일까지
물품수령 : 1월 29일부터 가능

배송비 (인천시내만 가능, 직접 수령시 배송비 없음)
15kg미만 3,000원, 15kg이상 5,000원


1월 농산물안내

상품명
중량
회원가
일반가
오대쌀
10kg
31000
32000
오대쌀
4kg
16000
17000
찹쌀
10kg
39000
40000
찹쌀
4kg
18000
19000
참기름
250ml
18000
19000
들기름
250ml
11000
12000
양파즙
1박스
31000
32000
된장
1kg
16500
18000
참깨
1kg
21000
22000
철원막걸리
1병
3000
4000
토란대
150g
11000
12000
망촛대(풍년초)
200g
11000
12000
고춧가루
500g
21000
22000

청차조
1kg
13000
14000
찰기장
1kg
13000
14000
떡국떡
1kg
6000
7000
사과(선물용)5kg3100033000
사과(선물용)10kg5100053000
사과즙50포3100032000

기름과 떡국떡은 1월 24일(목) 오전까지 마감합니다.


입금계좌 : 농협 355-0010-6545-43 (예금주: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신청문의 : 032) 201-4549
신청하기 : 온라인 신청 (네이버카페와 홈페이지 공지글 확인)
                신청링크주소 http://bitly.kr/w9bWG (1월 27일까지)    
직접수령주소 인천시 남동구 간석동 913, 4층 사단법인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2019년 1월 15일 화요일

[소식] 공동체텃밭 토론, 올해 목표를 세우다


공동체텃밭 토론현장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공동체텃밭(여우재, 서창, 도림, 경서, 학익)에서  활동하는 회원들이 모여 공동체텃밭에 대한 토론을 진행했습니다. 지난해 공동체텃밭을 돌아보고 이를 토대로 올해 더 잘 운영하기 위한 방법들을 쏟아냈습니다. 회원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생각보다 많은 의견과 아이디어가 나왔습니다.

2019년 1월 10일 목요일 오후7시 모두들 일상을 마무리하시고 쉬어야할 시간에 교육실로 모였습니다. 사무실에서 준비한 떡국으로 요기를 하고 본격적인 일정이 시작되었습니다. 먼저 참가자별로 소개를 했습니다.
  • 학익텃밭 : 김미선, 최계열, 고지선
  • 서창텃밭 : 이은자, 박인재, 이숙성
  • 경서텃밭 : 유형민, 김태분
  • 도림텃밭 : 김정임, 김정화, 한세란, 정근자, 장원철
  • 사무국 : 김충기, 김진선, 임진실
이렇게 참여하여 텃밭별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김충기대표의 토론제안에 대한 설명이 있었습니다. 우리는 왜 텃밭을 할까?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건강한 먹거리를 위해? 독일의 경작선언문에서 규정한 공동체텃밭의 역할을 소개하고 우리의 공동체텃밭 운영규정과 올해 진행되었던 공동체텃밭 사업들을 돌아봤습니다. 그리고 본격적인 토론을 이어갔습니다.

토론순서는
  • 우리텃밭의 지난해 돌아보기
    • 잘 되었던 점 - 이야기하고 정리하기
    • 아쉬웠던 점 - 이야기하기 정리하기
  • 올해 텃밭의 목표
    • 아쉬웠던 점을 극복할 방안은 - 해결방안 찾아보기
    • 하고싶은 것 - 이야기하고 정리하기
    • 전체에게 제안하기 - 이야기하고 정리하기
  • 텃밭별 토론내용 나누기
이렇게 진행되었습니다. 그리고 그결과가 텃밭별로 훌륭하게 나왔습니다.



인기있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