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곤충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곤충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9년 7월 5일 금요일

[도시농부특강 후기] 곤충들마다 즐겨먹는 식물이 다르구나



아, 곤충들마다 즐겨찾는 먹이식물이 있었던 거구나!

지난 봄 난생 처음 분양받은 두어평 틀밭에 들깨, 치마아욱, 가지, 방울토마토, 고추, 조선대파, 뿔시금치, 쑥갓, 상추, 적겨자 등 열댓가지의 작물을 심었는데 유독 십자화과인 적겨자에만 녹색 애벌레가 꼬이고, 노린재가 찾아들었다.
맛이 좋아 두번째로 얻어 심은 적겨자 10여본의 모종에 앙상한 줄기와 잎맥만 남았을 때도 작은 교훈을 하나 얻었을 뿐, 녹색 애벌레에게 가혹한 처벌이 가진 않았다.
모종을 조금 더 키워 아주심기를 했더라면 어린 애벌레가 먹어 치우는 속도보다 모종이 크는 속도가 빠를 것이므로 깡그리 해치우진 못했을텐데 하는.

"텃밭에서 만나는 곤충" 특강을 듣고 보니, 이 녀석들이 십자화과가 먹이식물인 배추흰나비 애벌레와 북쪽비단노린재였다.
배추흰나비는 무, 배추, 양배추 등 십자화과 먹이식물에 200에서 300여개의 알을 낳는다고 한다. 무수히 많은 알들이 깨어났어도 두어평 텃밭의 다른 작물에 해가 없었던 이유다.



그러니까 배추, 무, 양배추 등 십자화과를 찾는 배추흰나비는 가지, 고추, 감자, 토마토 등의 가지과에는 알을 낳지 않고, 가지과가 먹이식물인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는 오이, 호박, 참외 등 박과식물은 찾지 않는다.
작은 곤충들의 세계가 어느 한곳으로 기울지 않고 적당한 분산과 균형이 있으니 조화롭지 않은가? 초짜 도시농부라서 하는 얘기다.

알고보니 밭을 찾는 곤충들이 작물만을 탐하는 건 아니다. 작물에 해를 끼치는 곤충을 잡아먹는 먹이사슬 상위 포식자들이 있다. 익히 들어 알고 있는 일곱점무당벌레는 작물에 끼는 진딧물을 잡아 먹는다 하고, 노랑무당벌레는 오이 작물에 해를 주는 흰가루병균이 먹이라서 시설재배 농가에겐 효과가 있다고 한다.

텃밭에 찾아드는 다양한 곤충들의 이야기가 들을수록 재미있다.
공격 받으면 가사상태에 빠지며 관절에서 피(혈림프)가 나는 무당벌레, 갖은 쓰레기로 위장해서 다니는 깨알만한 풀잠자리 애벌레가 30여마리의 진딧물을 먹는다는 얘기, 종족번식력을 높이려 알이 아닌 새끼를 낳되 분만능력있는 암컷만 냅다 낳다가 겨울전에 짝짓기용 날개달린 숫컷을 낳는다는 진딧물 얘기, 그 개체다양성만큼 이야기도 끝이 없다.

나는 도시농부라고 하기에는 많이 부끄럽고, 틀밭에서 농부 소꿉놀이나 하는 아주 초짜도시농부다.
나의 텃밭에 오는 곤충들은 더이상 방제대상이 아니다.
강사님 말마따나 텃밭은 잘 차려질 인간의 밥상이기도 하지만, 그 이전에 잘 차려진 곤충들의 밥상이기도 하니까.

- 부평도시농부 최미혜

2019년 6월 11일 화요일

[공지] 도시농부특강 7월 - 텃밭에서 만나는 곤충



2019 미추홀구 도시농업지원센터
도시농부특강 7월 [텃밭에서 만나는 곤충]
2019. 7. 4.(목) 19시
미추홀구 도시농업지원센터

생태텃밭에서는 작물에 해를 주는 곤충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밭에서 만나는 곤충이야기를 통해 자연생태와 곤충. 그리고 텃밭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주소 : 미추홀구 승학길104번길 40-3 (주안동 1224-5)
대상 : 관심있는 시민 70명 (선착순)
참가비 : 5천원 (미추홀구민,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회원 50% 할인)
신청 : 미추홀구 도시농업포털 michu.incheon.kr/farm > 도시농부교육 > 도시농부특강
바로신청하기 bit.ly/201907특강


강사소개
정부희 / 고려대학교 한국곤충연구소 연구교수
현장파 곤충학자로 잘 알려진 정부희 박사는 한국의 파브르로 불리우고 있다. 저서로는 《곤충의 밥상》, 《곤충의 유토피아》, 《곤충 마음 야생화 마음》, 《버섯살이 곤충의 사생활》, 《나무와 곤충의 오랜 동행》, 《곤충들의 수다》, 《생물학 미리보기》 등이 있다. 특히 《우리 땅 곤충 관찰기》시리즈로 어린이들을 위한 곤충기도 내놓았다. 어려운 전문용어보다 재미있고 쉬운 설명으로 곤충을 친숙하게 소개한다.



도시농부특강안내

주관
미추홀구 도시농업지원센터 (070-4352-7190) http://michu.incheon.kr/farm

2016년 7월 4일 월요일

[텃밭에서 읽다] 허리를 굽혀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

[텃밭에서 읽다] 허리를 굽혀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
<욕망의 곤충학> 길버트 월드바우어, 출판사 한울림


이 책에는 우리가 모르거나 아예 관심 두지 않았던 것들의 이야기를 펼쳐 놓는다. 집에서도 길거리에서도 당연히 밭에서는 무척이나 많이 접하게 되지만 무시했던 존재들 즉, 곤충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하지만 흔하디흔한 곤충들에 대해 우리는 아는 게 거의 없음을 실감하게 된다.
 

가축은 보통 소, 말, 돼지, 닭을 이른다. 여기에 누에도 포함해야 한다고 이 책은 말한다. 누에는 철저히 인간의 손에 길들여져서 야생 상태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곤충이다. 그들의 누에고치는 인간들이 황홀하게 생각하던 비단의 원료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옷감에 물들일 염료도 곤충에서 얻었다. 깍지벌레는 염료를 생산하는 대표적인 곤충이다. 옷 위에 다는 장신구로도 이용했으니, 곤충이 사람 몸을 온통 휘감은 모습을 상상할 수도 있겠다.

곤충은 문명의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했다. 종이는 말벌집을 보고 만들게 되었으며, 잉크는 벌레혹으로부터 얻었다. 종이와 잉크가 문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만큼, 문명은 곤충에게 크게 빚지고 있다. 곤충의 쓸모 있음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맛있고 영양가 있는 음식이 되기도 하고, 죽은 조직을 제거하고 소독까지하는 살아있는 치료제(구더기) 역할도 한다. 달콤함을 선사하는 벌꿀은 화상, 위궤양, 과민성 대장증후군에도 좋다! 식물이 만든 다양한 종류의 항생물질이 벌꿀에 응집되는 것이다. 여기에 오락거리로서 키워지는 귀뚜라미와 벼룩의 이야기도 다뤄진다. 벼룩 서커스라는 기상천외한 일도 실제로 있었음을 귀뜸해준다.
 
아마 저자는 마감에 쫓기지 않거나 책의 분량으로부터 자유로웠다면 더욱더 많은 곤충의 쓸모를 우리에게 알려주었을지도 모르겠다.

 

앞의 모든 사례들은 철저히 인간의 눈으로 본 작은 존재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인간에게 쓸모 있는 것들의 이야기다. 왜 ‘욕망의 곤충학’이라고 이름 붙였는지 알것 같다. 철저히 인간의 욕구/욕망에 부합하는 곤충들에 대한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눈높이에서 본 곤충들. 인간은 자신에게 쓸모 있지 않은 것에는 관심이 없다. 연구자들이 지금까지 밝혀낸 곤충류는 95만 종 정도이며 아직 미확인된 종은 895만 종 정도 될 것으로 추정된다. 겨우 전체의 10% 정도만 인간에게 알려진 것이다. 곤충 연구자들이 없었더라면 아마 쓸모 있는 몇가지 종류의 곤충만 인간에게 알려졌을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이 책이 의미 없지는 않을 터이다. 저자가 밝히듯이 거의 알려진 바가 없는 이 매혹적인 생명체 자체에 관심을 가지게 될 수 있다면 좋은 홍보 전략일 것이다. 쓸모 있는 것에서 존재 그 자체로 관심을 끄는 것으로 시선을 옮길 수만 있다면 말이다. 어떠한 생명이든 그런 존재이어야 하지 않을까. 요즘의 인간도 쓸모의 정도에 따라 등급이 매겨지곤 하지만 말이다.


인기있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