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철원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철원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2년 4월 20일 수요일

도시와 농촌을 이어주는 직거래 (인천-철원) 4월 직거래


도시농부들이 나서서 농촌과 이어지는 도농교류활동 농산물직거래

2022년도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는 1, 4, 7, 10월에 직거래를 합니다.

농민에게 우리농업 응원을! 도시민에게 믿을 수 있는 먹거리를!

4월 직거래 안내

따뜻한 봄 햇살이 느껴지고, 텃밭의 새싹도 거리의 나무들도 초록빛을 내고 있습니다.

철원에서 온 봄 기운 가득한 농산물도 구경하고 가세요~

모든 먹거리는 철원군 농민회 회원분들이 직접 농사 지은 것으로

대다수 농산물은 인증은 받지 않았지만 제초제를 뿌리지 않았거나

유기농으로 키운 안전한 농산물입니다.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후원)회원과 일반인분 가격에 차이가 있습니다.

★★모든 주문 건은 배송만 가능합니다.(직접수령 불가)★★

주문 : 4월 26일(화) 까지

물품수령 : 4월 28일(목) 부터 가능

★배 송 비

- 인천 : 15kg미만 3,000원, 15kg이상 5,000원

- 인천 외 지역 : 5,000원

★입금계좌 : 농협 355-0010-6545-43 (예금주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신청하기 https://forms.gle/zLZiAb3BqABKMg3CA

2021년 10월 22일 금요일

도시와 농촌을 잇는 농산물 10월 직거래 (with 철원군농민회)


with 철원군농민회



도시농부들이 나서서 농촌과 이어지는 도농교류활동 농산물직거래

2021년도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는 1, 4, 7, 10월에 직거래를 합니다.

농민에게 우리농업 응원을! 도시민에게 믿을 수 있는 먹거리를!

---

10월 직거래 안내

갑자기 찾아온 추위에 여름이 물러나고 가을이 깊어가고 있습니다.

잘 말린 고추, 고소한 들깨, 통통한 서리태와 녹두, 팥...

쌀쌀한 날씨를 달래줄 풍성한 제철 농산물 구경하고 가세요!

모든 먹거리는 철원군 농민회 회원분들이 농사 지은 것으로

대다수 농산물은 인증을 받지 않았지만 제초제를 뿌리지 않았거나 유기농으로 키운 안전한 농산물입니다.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후원)회원과 비회원(일반인) 가격에 차이가 있습니다.

* 서리태는 11월 하순 경, 수수는 11월 중순 경 수확이 됩니다.

직접수령을 선택하실 경우 따로 배송비가 붙지 않지만,

배송을 선택하시면 철원에서 직접 보내주시기 때문에

5kg이하 4,000원 / 5kg 초과 5,000원의 배송비가 추가됩니다.

** 녹두는 6개 한정으로 판매합니다.

주문 : 10월 26일(화) 까지

물품수령 : 10월 27일(수) 부터 가능

주문하기 : https://bit.ly/21년10월직거래

★배 송 비 (인천시내만 가능, 직접 수령시 배송비 없음)

15kg미만 3,000원, 15kg이상 5,000원

★입금계좌 : 농협 355-0010-6545-43 (예금주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2020년 4월 14일 화요일

[도농교류] 4월의 직거래, 언제나 믿고 먹는 철원군 농산물! 제주도 건강한 농산물!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철원군농민회
4월의 도농교류 직거래

주문은 4월 18일까지
물품수령은 4월 22일부터 가능

배송비(인천만가능) 15kg미만 3,000원 이상 5,000원
직접수령 미추홀구도시농업지원센터 (주안동 1224-5)

입금계좌 농협 355-0010-6545-43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문의  032-201-4549

주문하기 bit.ly/20년4월직거래


이번 직거래는 제주도농산물(김안나 회원)도 연계하여 판매합니다. 
매번 분기마다 진행되는 직거래는 1, 4, 7, 10월에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많은 회원들과 시민들이 참여해주셨습니다. 

우리는 도시와 농촌을 잇는 다리로서 단순히 상품의 거래를 넘어 관계의 회복과 서로 함께 살자고하는 상생을 모색합니다. 단순히 싸기 때문에 혹은 건강한 농산물이기 때문이 아니라 먹거리를 통한 관계의 회복을 고민합니다. 

이번 직거래를 준비하면서 서로의 이야기를 조금씩 해보면 어떨까하는 취지에서 카드뉴스를 만들었습니다. 잠깐이지만 카드뉴스 한번 살펴보시면 더 의미있는 직거래가 될 것 같습니다. 항상 이 취지에 함께 참여해주시는 회원과 도시농부들께 감사드립니다.


카드뉴스보기 - 도시와 농촌을 잇는 도농교류직거래


사단법인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all.dosinong.net

2019년 5월 27일 월요일

[도농교류워크샵 후기] 농민을 만나고, 농촌을 경험하는 것...


어릴적 농사를 짓는 집에서 자랐던 사람들은 '농사'하면 떠오르는 것은 '고된 노동'일 것이다. 나 역시 고등학교까지 농사짓는 집에서 나고 자라서 그렇게 많은 일을 도운 것 같지도 않은데 일요일과 휴일은 집안 농사일에 대한 부담 때문에 항상 편하지만은 않았다. 그런데 도시에서 다시 농사라니...

도시에서 텃밭은 위안받는 공간이며 농사는 하나의 치유받는 행위이다. 그러니 농사가 좋다. 하지만 그 위안받는 공간에서 느끼는 것은 그외에도 많다. 생명과 자연, 먹거리와 에너지, 함께한다는 것에 대한 소중함. 나는 도시에서 텃밭농사를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생각난 것은 '아버지'였다. 내가 도시농업을 시작할 때 쯤 아버지는 큰 병에 걸리고 결국 얼마 못있다가 돌아가셨다. 이것저것 물어볼 것도 많았고, 농사짓는 방법도 그렇지만 농사지으면서 산다는 것에 대한 많은 이야기도 나누고 싶었는데 그러지 못하게 된 것이 많이 아쉬웠다.

내가 가지고 있는 농업, 농촌, 농민에 대한 이해는 아버지와 고향마을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지만 농사의 주체는 아니었다. 다시 도시농업을 시작하면서 농업과 농촌을 고민하지만 이 또한 도시농부의 입장에서 고민이다.

일년에 2번씩 정기적으로 가기 시작한 철원군농민회와의 만남은 또다른 고민들을 낳게 한다. 나는 시골에서 농사짓는 집에서 자라서 공감할 수 있는 여러가지 감정들을 도시농부들이 조금이라도 느끼게 해주고 싶다. 농사지으며 산다는 것에 대해 (생계, 삶의 방식, 처한 현실과 어려움 등) 들여다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고, 농촌마을에 대한 환상(전원의 여유로운 삶, 인심많은 사람들)이 왜 깨지고 있는지 구조적인 문제를 알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철원군 농민회는 건강한 농민들이 자신만을 위한 농사가 아니라 농민 전체를 위한 농사와 정책, 농촌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조직이다. 당연히 농촌(특히 철원)이라는 사회는 농사이슈만 있는 것이 아니기에 평화통일도 이야기하고 도시와 농촌의 균형발전도 이야기한다.

우리가 철원에 찾아간 5월 25일에 아직도 자유로운 출입이 어려운 드넓은 철원평야의 북단에서 통일논 손모내기를 하는 행사가 있었다. 지난해부터 초대를 받아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가 연대차원에서 함께 했다. 도시농부들은 손모내기라는 이색적인 체험도 하고, 평화에 대한 소중함도 느끼는 계기가 되었으리라 생각한다. (실제 평가설문에서 손모내기, 평화, 역사 등을 가장 많이 언급함)



오후에 사과 적과(사과 열매 솎아내기)를 돕기위해 역시 민통선 안쪽 과수원으로 들어가 3시간 정도 손을 돕는 작업이 있었다. 이럴 때 힘들다며 짧게 끝내자는 말들이 나오면 복잡한 생각이 든다. '이 정도가 힘들다고?' '도움이 될라면 제대로 해주고 싶은데...' '너무 힘들어하면 다시는 안온다고 하려나?' 그러면서 어린시절 집안농사를 돕던 나의 모습이 떠오르기도 한다. 투덜대며 일을 돕다가도 끝나고 집에 돌아와 저녁밥을 먹을때면 엄마의 한마디가 내 자신을 뿌듯하게 만들었다. "오늘 밥값했네" 그 말 한마디에 많은 의미가 있다.




철원에서의 우리도 '밥값'을 하고 잘 차려진 밥상을 받아 평소보다 과하게 먹으면서도 모두들 웃음 띤 표정이었다. 그리고 저녁시간 농민 몇분이 함께하는 뒷풀이가 있었다. 하루의 경험을 서로 나누면서 정리할 수 있고, 여러 사람들과 교류하는 시간이 하루밖에 안된다는 아쉬움은 있지만 앞으로 인천에서 계속 볼 수 있기를 기대하며 하루를 마무리했다.
이튿날 오전 평화기행(제2노동당사, 월정리역, 평화전망대)을 마치고 돌아왔다.



매번 철원에 갔을 때는 다짐을 하게 된다. 다음엔 더 많은 사람들과 오고 싶다. 그렇게 준비하자. 하지만 막상 일정에 치여 제대로 준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함께 갈 도시농부들을 설득하면서 준비하는 것도 못했다. 쉽지 않은 일이다. 어릴적 아버지가 나에게 일하러 가자고 했을때 '도와줘야지'라는 마음과 '놀고싶어'하는 마음이 부딛치듯이, 대부분의 사람들은 선뜻 나서기 어려운 일정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일이 끝나고 '밥값'을 한 내가 느꼈던 감정을 함께 느끼게 하고 싶다.

하지만, 약간의 욕심을 버리고 우리(도시농부와 농민회)가 만났다는 것 자체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기로 했다. 꾸준히 잊지 않고 찾아가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 누군가는 꾸준히 해주어야 한다.

- 아메바


사진더보기 - 2019 도농교류워크샵 1차
   

사단법인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all.dosinong.net

2018년 3월 29일 목요일

[공지] 도시와 농촌을 잇는 농산물 직거래 (4월 접수받습니다)


도시농부들이 나서서 농촌과 이어지는 도농교류활동 농산물직거래
2018년 사단법인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는 1, 4, 7, 10월 직거래를 하기로 했습니다.
농민에게 우리농업 응원을! 도시민에게 믿을 수 있는 먹거리를!


[4월 직거래 안내]

봄봄봄~ 봄과 함께 농산물직거래 소식을 알립니다.
바쁘다고 대충 끼니를 때우지 마시고 우리 먹거리로 든든한 식사를 해먹는건 어떨까요?
모든 먹거리는 철원군농민회 회원분들이 농사지은 것입니다.
대다수 농산물은 인증을 받지 않았지만 제초제를 뿌리지 않았거나 유기농으로 키운농산물입니다.
이번 직거래부터는 인천 외 지역도 배송 가능합니다.(배송비 별도)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후원)회원과 일반인분 가격에 차이가 있습니다.
주문 : 4월 19일까지
물품수령 : 4월 24일부터 가능
인천지역 배송비 (인천시내만 가능, 직접 수령시 배송비 없음)
: 15kg미만 3,000원, 15kg이상 5,000원

신청하기 : bit.ly/2018직거래4

입금계좌 : 농협 355-0010-6545-43 (예금주: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신청문의 : 032) 201-4549
직접수령주소 : 인천시 남동구 간석동 913번지, 4층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많은 참여바랍니다.

2018년 2월 1일 목요일

[공지] 도시와 농촌을 잇는 농산물직거래 1월 안내





도시와 농촌을 잇는

농산물 직거래

with 철원군농민회

도시농부들이 나서서 농촌과 이어지는 도농교류활동 농산물직거래
2018년 사단법인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는 1, 4, 7, 10월 직거래를 하기로 했습니다.
농민에게 우리농업 응원을! 도시민에게 믿을 수 있는 먹거리를!

---

1월 직거래 안내

2018년 설맞이 전 우리 농산물을 정성껏 준비했습니다.
직접 드셔도, 고마우신 분들과 친지들에게 선물하셔도 좋습니다!

모든 먹거리는 철원군농민회 회원분들이 농사지은 것으로
대다수 농산물은 인증을 받지 않았지만 제초제를 뿌리지 않았거나
유기농으로 키운 안전한 농산물입니다.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후원)회원과 일반인분 가격에 차이가 있습니다.

주문 : 2월 8일까지
물품수령 : 2월 12일부터 가능

배송비 (인천시내만 가능, 직접 수령시 배송비 없음)
15kg미만 3,000원, 15kg이상 5,000

---


1월 농산물안내

상품명
중량
회원가
일반가
오대쌀
10kg
26000
28000
오대쌀
4kg
14000
16000
오대현미
10kg
27000
29000
오대현미
4kg
14500
16500
찹쌀
10kg
31000
33000
찹쌀
4kg
17000
18000
찹쌀현미
10kg
31000
33000
찹쌀현미
4kg
17000
18500
통들깨
1kg
11000
12000
들깨가루
250g
11000
12000
참기름 12개한정
250ml
18000
20000
들기름
250ml
12000
14000
청국장
1kg
16500
18000
된장
1kg
16500
18000
양파즙
1박스
30000
31500
메주콩
1kg
7700
9000
수수 5개한정
1kg
11000
12000
쥐눈이콩
800g
16500
18000
떡국떡
1kg
6000
8000
※ 참기름 12개한정, 수수 5개한정(입금순 선착순)

입금계좌 : 농협 355-0010-6545-43 (예금주: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신청문의 : 032) 201-4549
신청하기 : 온라인 신청 (네이버카페와 홈페이지 공지글 확인)
                신청링크주소 https://goo.gl/4rRm4t (2월 8일까지)    
직접수령주소 인천시 남동구 간석동 913, 4층 사단법인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인기있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