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독감 발생 한 달 만에 닭과 오리 1천만마리가 살처분 됐거나 살처분 예정이라고 합니다. 2003년 첫 발생 이후 역대 최악, 최단 기간 최고 피해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조류독감의 특성상 방역이 쉽지 않고 바이러스 감염 확산이 빨라 방역에 애를 먹고 있다고 하지만, 본질적인 문제는 따로 있습니다.
바로 공장식 축산이 본질입니다. 닭의 경우 마리당 사육 면적은 0.05㎡에 불과합니다
. A4 종이 한 장의 면적이 0.062㎡라고 하니 얼마나 작은지 가늠할 수 있겠죠?
문제는 이 면적이 법이 정한 최소한의 면적이라는 것입니다. 날갯짓 한 번 제대로 하기 어려운 이 면적보다도 훨씩 작고 열악한 곳도 부지기수일 것입니다. 이런 열악한 공간에서 사육되기 때문에 닭, 오리의 면역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고 바이러스가 유입될 경우 큰 피해가 불가피합니다.
살처분 방식 역시 늘 도마에 오르고 있습니다. 예방을 위해 최대 반경 3km까지 살처분하는데 과도한 행정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또 안락사 등의 방법이 아닌 집단 생매장 방식을 취하고 있어 동물복지 침해라는 지적과 함께 사후 관리 부실로 침출수 유출, 악취 문제 등 2차 피해도 빈번합니다.
조류독감은 2003년 첫 발생 이후 2~3년마다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사후약방문식 대처에 그나마도 늑장대응으로 피해는 매번 눈덩이처럼 불고 있습니다. 매번 반복되는 구제역, 조류독감 참사는 어쩌면 인간의 탐욕이 빚은 참극 아닐까요?
Incheon Urban Agriculture Network (Urban Agriculture Support Center,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인기있는 글
-
인천시의 구청에서 운영하는 공공도시텃밭(공영도시농업농장, 공공주말농장)에 대한 분양신청을 받고 있는 시기입니다. 각 구별로 관심있는 분들은 꼭 기간내에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아래 간단한 소개를 했고 실제 신청은 링크를 통해 각 구청에서 할 수 ...
-
글 : 유형민(소자농, 사단법인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이사) 소자농의 파종에서 채종까지 이 연재글은 변현단 (씨드림대표) 선생의 토종농사는 이렇게 라는 책과 오도선생(홍성씨앗도서관원장)의 씨앗받는 농사매뉴얼 이란 책,...
-
도시농업관리사 자격증 어떻게 쓰고 계신가요? 2011년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도시농업법)이 제정된 이래 지난 2017년 한 차례 커다란 변화가되는 법 개정이 있었다. 크게 3가지의 변화가 있었다. 도...
-
소자농의 파종에서 채종까지 "인천 지역에서 씨앗으로 재배하는 토종고추 1. 원산지 등 : 가지과 / 남아메리카 / 씨앗수명 5 년 2. 고추이야기 가 . 고추는 적의 공격에 대응하며 매운 맛...
-
천천히 가는 것이 오히려 자연스럽습니다. 우리는 “자연스럽다”는 말을 자주 씁니다. 대부분 꾸미지 않는 행동이나 매끄러운 흐름일때 쓰는 표현입니다. 자연스러운 것은 무엇일까요? 자연과 같다. 우리가 지금 많이 이야기하고 있는 생태, 지구환경 이런...

댓글 없음:
댓글 쓰기